인천광역시의 기념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천광역시의 기념물은 인천광역시가 지정한 문화유산으로, 문학산성, 화도진 터, 김재로 묘, 능허대지, 용궁사 은행나무 등 다양한 유형의 유적과 유물을 포함한다. 선사 시대 유적으로는 강화도 고인돌군과 삼목도 선사 주거지가 있으며, 삼국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걸쳐 산성, 묘소, 종중 묘역, 돈대, 군사 시설 등이 지정되었다. 근현대에는 화도진 터, 청일 조계지 경계 계단, 김상용 순절비, 양헌수 승전비 등이 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보문사 측백나무, 이승훈 묘 등 종교 관련 시설과 독립운동 관련 유적도 포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광역시의 문화유산 -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는 인천의 역사와 문화를 대표하는 건조물, 서적, 불상, 비석 등 다양한 문화유산으로, 조선시대 건축물부터 개항기 근대 건축물, 종교 건축물까지 시대와 양식을 아우르며 지정 및 해제 정보를 통해 인천의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보여준다. - 인천광역시의 문화유산 - 인천광역시의 문화유산자료
인천광역시 문화유산자료는 1983년부터 2019년까지 총 29점이 지정되었으며, 조선시대 건축물, 유물, 불교 문화재 등을 포함하여 각 시대별 역사적 가치를 보여준다. - 인천광역시의 기념물 - 계양산성
계양산성은 삼국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며 한강 하류의 전략적 요충지에 위치한 군사적 중요성을 지닌 산성으로, 문헌 기록이 남아있고 유물이 출토되었으나 훼손이 심하여 계양산성 박물관이 개관하여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고 있다. - 인천광역시의 기념물 - 교동읍성
교동읍성은 조선 인조 때 교동도에 돌로 쌓은 읍성으로, 동문, 남문, 북문을 두었으며, 1921년 남문이 붕괴되었으나 2018년 문루가 복원되었다. - 대한민국의 시도기념물 -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부산광역시의 기념물은 시가 지정한 문화재로, 선사시대 유적부터 근대 건축물 및 자연 유산까지 다양한 유산을 포괄하며, 부산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기념물 - 충청북도의 기념물
충청북도의 기념물은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있는 도내 문화재로서 사당, 묘소, 유적지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현재 151개가 지정되어 있고, 일부는 지정 해제되기도 했다.
인천광역시의 기념물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종류 | 기념물 |
지정 번호 | 인천광역시 기념물 |
상세 목록 | |
제1호 | 인천향교 대성전 |
제2호 | 부평향교 대성전 |
제3호 | 강화향교 대성전 |
제4호 | 문학산성 |
제5호 | 장곶돈대 |
제6호 | 화도돈대 |
제7호 | 광성보 신미양요 전적지 |
제8호 | 덕진진 |
제9호 | 남장포대 |
제10호 | 용두돈대 |
제11호 | 오두돈대 |
제12호 | 망해돈대 |
제13호 | 철산리 당간지주 |
제14호 | 정수사 법당 |
제15호 | 전등사 대웅전 |
제16호 | 초지진 |
제17호 | 사기리 탱자나무 |
제18호 | 인천 송학동 구 일본우선주식회사 사택 |
제19호 | 척약재 |
제20호 | 보문사 맷돌 |
제21호 | 보문사 석실 |
제22호 | 보문사 향나무 |
제23호 | 신현동 은행나무 |
제24호 | 창영초등학교 |
제25호 | 인천우체국 청사 |
제26호 | 제물포 구락부 |
제27호 | 인천 내동 성공회 성당 |
제28호 | 인천 답동 성당 |
제29호 | 조봉암 묘 |
제30호 | 인천 중구청 |
제31호 | 인천 자유공원 |
제32호 | 수산진 해안 |
제33호 | 영종진 해안 |
제34호 | 용유진 해안 |
제35호 | 가족공원 (구. 장사골 묘역) |
제36호 | 서포 김만중 유허비 |
2. 인천광역시 기념물 목록
(인천광역시 연수구청)